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55
한자 庾黔弼
영어공식명칭 Yu Geumpil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왕족·호족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정선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925년 - 유금필 정서대장군 임명
활동 시기/일시 933년 - 유금필 정남대장군 임명
몰년 시기/일시 941년 4월연표보기 - 유금필 사망
추모 시기/일시 994년 - 유금필 태사로 추증
출생지 평주 - 황해도 평산군
사당|배향지 임천 유태사 묘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97번길 167[군사리 산1-1]지도보기
성격 무신|개국 공신
성별
본관 평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임천 유태사 묘에 위패가 봉안된 고려 전기 무신.

[가계]

유금필(庾黔弼)[?~941]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다. 평산 유씨(平山 庾氏)와 무송 유씨(茂松 庾氏)의 시조이다. 아들은 유긍(庾兢)·유관(庾官)·유유(庾儒)·유경(庾慶)이며, 딸은 태조 왕건의 제9비인 동양원부인(東陽院夫人)이다.

[활동 사항]

유금필은 지금의 황해도 평산군에서 태어났다. 유금필은 고려 건국 이후 920년 골암진으로 가서 북번(北蕃)을 평정하였고, 925년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이 되어 후백제의 연산진을 공격하였다. 조물성 전투에 이어 929년 고창 전투에서 견훤의 군대를 격파하면서 고려가 후삼국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데 기여하였다. 933년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이 되어 의성부를 지키면서 신검과 싸워 승리하고 신라를 구원하기도 하였다. 935년 도통대장군(都統大將軍)이 되어 나주 지역을 경략하다가 견훤의 고려 귀부를 도왔다. 북방의 정예 기병을 이끌고 후백제와의 마지막 전투에 참전하여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임천 지역과 관련하여, 「성흥산성실기」에 유금필이 “진남장군으로 전라도 순천군의 산성에 머물다 송도로 돌아가면서 임천의 성흥산성가림성에 들러서 가난한 주민들을 진휼하였고, 그 뒤에 유금필의 은덕을 잊지 못한 주민들이 사당을 세우고 제사 지냈다”라는 기록이 있다. 유금필이 934년 9월 운주성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계기로 웅진 이북 30여 성이 고려에 항복하였던 사실에 주목하면서, 후백제가 항복한 936년 9월까지 임천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유금필이 임천에 머물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리고 후백제가 항복한 것을 계기로 본래 후백제 영역 안에 있던 임천 지역의 반고려적 정서를 제압할 목적으로 936년 무렵에 주둔하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런데 임천 지역은 통일 전쟁의 마지막 전투가 있었던 황산군의 마성(馬城)과 사실상 같은 지역이다. 마성에서 후백제의 항복을 받았던 고려는 한편으로 연산 지역에 개태사를 창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금강을 마주하고 있는 임천의 가림성유금필의 군대를 주둔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에 적대적이었던 후백제인들을 상대로 한편으로는 불교를 내세운 온건책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무력을 통한 강경책으로 회유하려는 전략이었다. 그래서 가림성에 주둔하였던 유금필은 점령군의 위세가 아닌, 가난한 주민의 진휼을 포함한 민심 수습책을 내세우면서 후백제인에 대한 적극적인 통합을 시도하였을 것이다. 유금필은 941년(태조 24) 4월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유금필은 생전에 이미 개국공신으로 책봉을 받았고, 전장에서 개선하고 돌아오면 태조가 반드시 맞이하여 위로하는 등 다른 장수들이 미치지 못할 정도로 총애를 받았다. 충절(忠節)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994년(성종 13) 다시 태사(太師)로 추증되고, 태조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유금필은 후손인 유자우(庾自㥥)[1260~1313]의 묘지명에 따르면, 고려 왕실에 의하여 제오호기위(第五虎騎尉), 삼중대광(三重大匡), 장위익대광위협보좌성저정공신(壯威翼戴匡衛協輔佐聖底定功臣) 등으로 추모되고 있었다. 조선에서 고려 왕실의 제사를 위하여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에 세운 숭의전의 배신청에도 고려의 충신 16명 가운데 1명으로 배향되어 있고, 황해도 평산군의 태백산성에 있는 태사사(太師祠)에는 신숭겸·배현경·복지겸 등과 함께 유금필의 철상(鐵像)이 봉안되어 있다고 한다. 부여 지역에도 유금필을 모시는 사당이 임천면가림성에 있는 임천 유태사 묘 이외에, 장암면 장하리의 태성산 정상에 1980년대 초까지 태사각이 있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