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318
한자 松菊里
영어공식명칭 Songguk-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대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 개설
성격 법정리
면적 1.72㎢
가구수 80가구
인구[남/여] 150명[남 82명|여 68명]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송리(新松里)의 송(松) 자와 하국리(下菊里)의 국(菊) 자를 따서 송국리(松菊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청동기 시대부터 마을을 형성하였다. 백제 소부리[사비] 지역으로 통일 신라 시대에는 671년(문무왕 11) 소부리주[사비주], 686년(신문왕 6) 소부리군, 경덕왕 때 부여군 지역이었다. 고려 시대에는 부여군과 부여현 지역이었다. 조선 시대 부여현 초촌면(草村面), 조선 말에는 부여군 초촌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상국리(上菊里)와 하국리(下菊里)·하평리(下坪里)·신송리(新松里)의 각 일부와 노성군(魯城郡) 소사면(素沙面)의 덕상동(德相洞) 일부가 병합되어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로 개설되었다.

[자연환경]

선사 취락지 주변에는 낮은 구릉지가 분포하고 있다. 서쪽에 흐르는 응평천을 따라 하천 서쪽에 장정들이라 불리는 충적 평야가 발달하였다.

[현황]

송국리는 충청남도 부여군 동북부에 있는 초촌면의 11개 법정리 가운데 하나이며, 초촌면의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진호리·소사리, 서쪽으로 추양리, 남쪽으로 초평리·산직리, 북쪽으로 세탑리와 접하여 있다. 행정리로는 송국1리, 송국2리가 있다. 자연 마을은 윗궁령리[상국], 아랫궁령리[하국], 산학골, 송현, 참샘골[참사골]이 있다.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1.72㎢이며, 인구는 80가구, 150명[남자 82명, 여자 68명]이다.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응평천 연변의 평야는 벼농사 지대이며, 구릉지는 밭농사 지대로서, 축산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교통로는 선사로, 송국로가 곳곳을 연결하고 있다. 문화 유적으로는 남쪽 구릉지에 청동기 시대의 취락지인 부여 송국리 유적[사적]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