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070
한자 石城川
영어공식명칭 Seokseongcheo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석성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석성천 - 충청남도 부여군|공주시|논산시
해당 지역 소재지 석성천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송정리|석성면 봉정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145.78㎢[유역 면적]
길이 20.70㎞[하천 연장]|20.94㎞[유로 연장]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복룡리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송정리를 거쳐 석성면 봉정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자연환경]

공주시에 속하는 석성천(石城川)의 상류는 석성천에 의하여 형성된 하천 퇴적 지형인 곡저 평야가 나타나며, 대부분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석성천과 하관천이 합류하는 지역에서는 침식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침식 분지 내에 구릉성 산지 및 하천 충적 평야가 폭넓게 형성되어 있어 형태가 비교적 잘 나타난다. 석성천응평천이 합류하는 지역은 하천 습지가 발달하였고, 주변에 개간된 범람원과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다. 석성천금강이 합류하는 지역에서는 대하천 주변에 형성되는 하천 습지가 나타난다. 주변에 개간된 범람원과 충적 평야, 여타 하천 습지가 있으며, 충적지를 중심으로 취락지와 경작지를 이루고 있다.

석성천 주변에서는 고라니와 능구렁이 등이 관찰되며 석성천으로 유입되는 하관천에서는 두더지와 너구리 등이 서식한다. 석성천에는 국외 반출 승인 대상 종인 치리, 떡납줄갱이, 가시납지리, 모래무지, 긴몰개, 각시붕어, 얼룩동사리가 서식하고 있다. 이 중 긴몰개, 각시붕어, 얼록동사리는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현황]

석성천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복룡리에서 발원하여 부여군 초촌면 송정리, 논산시 노성면, 광석면을 거쳐 석성면 봉정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금강의 제1지류이다.

석성천의 하천 연장은 20.7㎞이고, 유로 연장은 20.94㎞이며, 유역 면적은 145.78㎢이다. 하천 제방은 총 19.8㎞가 건설되어 있으며, 그중 제방 정비 완료 구간은 15.7㎞, 제방 보강 필요 구간은 4.1㎞이다.

석성천에는 총 8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지만 어도가 있는 보는 없다. 모두 2010년 1월 건축되었다.

[참고문헌]
  • 『한국하천일람』 (환경부, 2020)
  • 국가어도정보시스템(https://www.fishway.go.kr)
  • 국립생태원(https://www.nie.re.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