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411
한자 保寧城郭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 261-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심상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1430년연표보기 - 보령성곽 축조
개축|증축 시기/일시 1432년 - 보령성곽 내부에 관아 시설 완비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보령성곽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 지정
현 소재지 보령성곽 -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 261-1 지도보기
성격
양식 내탁식(內托式) 석축성
관련 인물 최윤덕|박안신|이흥발|박눌생|박효성
크기(높이,길이,둘레) 880m[둘레]
면적 79,990㎡
소유자 보령시 외
관리자 보령시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 있는 조선 전기 보령읍의 읍성 시설 중 성벽.

[개설]

보령성곽은 조선 전기 보령현의 치소지(治所地)인 보령읍성의 성벽 시설이다. 조선 시대 보령현은 현재 충청남도 보령시의 북부인 주포면 보령리가 중심지이다. 보령읍성은 보령현의 주산(主山)인 진당산(鎭堂山)[351m]의 서쪽 능선 끝 평지에 있다. 보령성곽은 평지에 설치된 사각형의 성곽이다. 성곽의 구조는 외벽은 2m 가까이 되는 돌로 쌓아 올리고 내부는 돌과 흙으로 만든 내탁식 석축성이다. 보령성곽은 보령읍성이 치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후 북벽 일부분을 포함하여 남벽과 동벽 구간은 해체 복원되었으며, 축조 당시인 조선 시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북벽의 일부 구간, 서벽 구간이다. 서벽에는 충청북도 단양군·충청북도 제천군·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등 고을에서 동원된 사람들이 축성하였다는 글자가 성돌에 새겨져 있으며, 동벽에는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동원된 사람들이 축성하였다는 글자가 성돌에 새겨져 있다.

[건립 경위]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등으로 봉당성(鳳堂城)[보령시 주포면 봉당리 산62 일원]을 설치하여 1400년부터 1432년(세종 14)까지 보령현의 읍치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봉당성은 성지가 좁고 험준하며, 우물이 없는 점 등으로 인해 1430년에 순찰사 최윤덕(崔潤德)과 박안신(朴安信), 이흥발(李興發)이 성터를 살펴 봉당성[보령현 구읍성]의 동쪽 1리에 있는 지내동(池內洞)에 새롭게 터를 잡아, 서산군수 박눌생(朴訥生)과 보령현감 박효성(朴孝成)이 보령성곽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보령현감 정대(鄭帶)가 1431년부터 1432년까지 보령성곽 내부에 관아 시설을 완비하였다. 보령성곽을 포함한 보령읍성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보령의 군청이 대천으로 옮겨질 때까지 치소(治所)였다.

[위치]

보령성곽 현재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 한가운데 있다. 보령성곽의 뒤에는 진당산이 높게 솟아 있고, 진당산에서 서쪽으로 내려오는 능선의 끝 평지에 보령성곽이 있다. 보령성곽 내부에는 보령중학교주포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형태]

보령성곽은 평지에 설치된 조선 시대 읍성의 성벽이다. 보령성곽의 평면 형태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사각형이며, 주 출입문은 남서쪽 성벽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조선 시대 기록에는 둘레 2,109척(尺)[63,909㎝], 높이 12척(尺)[363㎝], 여장 높이 2척(尺)[60㎝], 적대 8개소, 문 3개소, 해자가 설치되어 있다고 확인되었다. 현재는 정문인 보령관아문인 해산루을 비롯하여 문지 3개소, 적대 3개소와 석축된 성벽이 잔존한다. 원래의 성벽은 북벽의 일부와 서벽이 잔존하며, 나머지 성벽은 1992년 남벽 115m, 2001년 동벽 130m, 2002~2003년 동벽 69m, 2004~2005년 동벽과 북벽 40m 구간이 해체 복원되었다. 보령성곽 둘레는 880m이다.

[현황]

보령성곽은 성벽을 따라 문화재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옛 보령읍성의 내부 및 성곽 외부 해자 구간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령성곽보령중학교주포초등학교가 들어서면서 훼손된 성곽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석축성으로 복원되었다.

[의의와 평가]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 있는 보령성곽은 조선 전기 서해안 일대 평지 읍성의 성벽 모습을 잘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